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4. 생활정보

코로나 에어로졸(공기 중 감염) 감염 예방법

안녕하세요.

코로나때문에 매일매일이 뒤숭숭한 날들입니다.

어제 대구 한 아파트에서 코로나 집단 감염으로 코호트 조치가 내려졌다는 뉴스를 보고 정말 깜짝 놀랐어요.

어떻게 한 아파트 내에서 46명의 집단 감염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에 모두들 놀라셨을 것이라 믿습니다.

추후 신천지 교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아파트라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이 사실을 알기 전에는 엘레베이터가 없는 아파트에서 집단으로 감염됐기 때문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에어로졸 감염 가능성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어요.

제 건강을 위해 신천지 교인이라고 해도 아직 명확한 감염 경로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생각해보기로 했습니다. 

 

1. 에어로졸 감염(공기 중 감염) 이란?

 

"에어로졸 전파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1μm 이하의 아주 작은 수분 입자인 에어로졸 속에서 공기를 타고 확산된다는 의미다. 즉 공기중 감염과 같은 의미다. 환자의 침방울이 아주 잘게 쪼개지면 에어로졸이 될 수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아주 미세한 입자(에어로졸)을 타고 공기중을 떠다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에어로졸의 경우 아주 작은 입자라서 중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공기 중에 상당기간 머무를 수 있는 입자입니다.

특히 환기가 안되는 밀폐된 공간에서 바이러스를 품고 있는 에어로졸 입자가 존재한다면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됩니다.

 

 

2. 코로나19 에어로졸 감염 가능할까?

그렇다면 코로나 19도 에어로졸로 감염이 가능할까요?

기사를 보니 2003년 홍콩 사스 집단감염 사태를 예시로 듭니다.

용변에 포함된 바이러스가 화장실 변기 물을 내리면서 배수구 등으로 다른 가구로 퍼지는 방식이라고 하네요.

또한 많은 분들이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의 경우 환풍구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로졸 형태로 바이러스가 퍼진다면 조금이라도 코로나 감염 가능성이 존재 할 것 같습니다.

 

 

반면 에어로졸을 통한 전파는 예컨대 용변에 포함됐던 바이러스가 화장실 변기의 물을 내리면서 바이러스가 포함된 에어로졸 형태로 배수구 등을 통해 다른 가구로 퍼지는 식이다. 2003년 홍콩의 한 아파트에서 321명이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에 걸렸는데 변기와 배수구를 통한 바이러스 에어로졸 감염으로 추정됐다.
[출처: 중앙일보] 중국, 코로나19 에어로졸 전파 가능성 조건부 인정


실제 중국 위생위에서도 코로나 환자의 대/소변에서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견되었기 때문에
"대소변 통한 코로나19 에어로졸 전파 주의하라" 라는 주의 사항을 발표하면서 에어로졸 감염 가능성에 대해 일부 인정한 셈이 되었습니다.

 

'밀폐된 공간'에서 '고농도'의 에어로졸인 경우 감염 가능성이 있다고 인정했는데요. 치료제가 없는 전염병인 만큼 조심해서 나쁠 것이 없으니 집에서 배관을 통한 에어로졸 감염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9738528

 

3. 코로나 에어로졸 감염 예방법

사스(SARS) 당시 홍콩 아파트에서 집단 감염이 일어났었는데 그 당시 감염 경로를 추적했을 때 추정 경로가 아래와 같습니다.

감염된 사람이 대변을 보고 물을 내림 -> 바이러스가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이후 윗집 사람이 환풍기 가동 -> U자형 배관이 말라서 공기가 통하는 윗집 욕실 바닥 배수구를 통해 실내 에어로졸로 퍼짐

이를 바탕으로 가정 내 코로나 에어로졸 감염 예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환기를 자주 시키자

에어로졸 감염 가능 환경은 밀폐된 공간에서 고농도의 에어로졸에 노출된 경우입니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기만큼 좋은 것이 없습니다. 특히 코로나 확진자 중 자가격리 중이신 분이라면, 다른 가족들과 분리된 공간을 사용하면서 사용하시는 방의 잦은 환기와 소독이 필요로합니다.

 

두 번째, 화장실 환풍기를 키지 않는다

만약에 에어로졸로 인한 감염이 확실시되고, 바이러스의 변형으로 전염성이 더욱 강해진다면 사스처럼 같은 아파트 내에서 배관을 통한 감염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배관의 종류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특히 구축 아파트의 경우 아래 기사 이미지 처럼 환풍구 통로가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 환풍기는 바이러스가 유입되는 통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꺼두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화장실 물 때문에 곰팡이가 생기겠지만 자주 청소하는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세 번째, 하수구를 항상 촉촉하게 유지한다

하수구가 마르지 않고 물이 고여있는 형태를 유지하면 에어로졸 형태로 하수구에서 유입되는 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을 것입니다. 

 

네 번째, 하수구 트랩을 설치한다

하수구 트랩은 원래 아래쪽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데요, 기본적으로 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 하수구를 차단하기 때문에 트랩 설치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이소에서도 저렴하게 판매하고 , 인터넷으로 스텐재질의 좋은 트랩을 구매할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이로써 코로나 에어로졸 감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